2008년 3월 5일 수요일

피터드러커의 비영리단체의 경영을 읽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피터 드러커의 『비영리단체의 경영』은 네가지 측면에서 사회복지 조직관리에 있어 중요한 통찰을 제공해 준다.

 첫 번째는 사명과 임무이다. 비영리단체에서는 전반적이며 공통적인 사명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개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사명감이 정립되고 그것은 영리 단체의 전반적이며 공통적인 사명감보다 개개인의 주관적인 사명이 앞서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이는 개개인의 주관적 사명감이 앞서서 실행된다면 단체로써의 색깔은 사라지게 되기 때문에 개인은 조직의 목표에 자신의 과업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피터 드러커는 이 책에서 끊임없이 사명(mission)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비영리단체는 돈을 버는 단체가 아니기에 오히려 현 사회에서는 위축되기 쉽고 그래서 더욱 사명감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영리기업과는 달리 비영리단체가 영리단체에 비해 좀 더 고차원적인 손길과 정성을 요구하며 상당 수준 이상의 책임감이 필요로 하다는 것이다.

피터 드러커는 성공적인 사명을 위해 세 가지 필수 요건을 제시하였다.

과거에 성공했던 실적과 지금 달성한 실적을 소홀히 여겨서는 안 된다.
주위에서 요구하며 필요로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를 신속하고 세밀하게 파악하여야 한다.
하는 일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것이다. 이는 사명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수반한다는  내용이다. 비영리 단체도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측정이 필요한데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에 어느 시점에서 새로이 목표에 대해 제시를 꾸준히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영리를 위한 사업이 아니기에 현실보다 항상 혁신적인 생각과 창의적 개선 방법을 간구 하여야 하며, 변화에 민감하며 바로 수용할 수 있는 신경망을 구축하는데도 신경을 써야 한다.

사명은 임무를 낳는다. 사명을 통해서 자신의 할 일에 대해 동기부여가 된 자는 비영리 단체의 사명감이 자신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남을 위한 것이며. 자신의 단체가 하는 일에 대한 대상에 대한 사명이기 때문에 일에 대해 일이라 여기지 않고 “임무”라고 여기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개개인의 임무에 있어 구체적인 활동목표를 설정함으로써 비영리단체가 경영적 마인드를 가지고 경영기법을 적용하여 이제까지 비영리단체에서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있었던 질적 성과에 대한 측정과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현재 비영리단체의 종사자들에게 큰 도전을 준다.

비영리단체의 종사자들에게 혁신이란 단어는 다소 낯선 단어이다. 특히 사회복지조직의 경우 관습화된 업무 패턴에 따라 일이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업무과정에 대한 분석과 그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여 민감하고 창의적인 조직의 내부문화가 부재하다. 피터 드러커는 계급과 관계없이 끊임없는 대화와 정보교환을 통해 혁신은 시작 된다고 말하고 있다.
많은 전문적 지식을 가진 여러 부류의 업무자들이 모여있는 사회복지조직의 경우 이는 더 절실하다 하겠다.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까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현재 일하고 있는 중증장애인 시설산하에 보호고용을 제공하는 보호작업장의 경우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사회사업팀과 교육재활팀, 물리치료 팀과의 의견 조율과 시간조율 등 많은 시간을 프로그램의 시간배치를 위해 활용하여야 한다. 이는 업무진행 과정에 있어 시간적 낭비를 초래한다.

만약 사회복지조직이 체계적인 업무프로세스를 갖추고 그에대한 명확한 업무지침과 절차서에 의한 문서화된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면 그러한 낭비요소를 줄일수 있을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피터 드러커의 대화와 정보교환이 혁신의 첫걸음이라는 말은 참 중요한 말이다.

이어지는 내용

 

댓글 없음:

댓글 쓰기